반응형 교정 교정장치(브라켓) 부착 후 주의사항 교정치료를 시작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교정치료를 이제 막 시작하신 분들을 위해 교정장치 부착 후 주의사항, 즉 브라켓 부착 후 주의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단단한 음식, 질긴 음식, 끈적거리는 음식은 가급적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교정 장치(브라켓)을 붙이고 나서 발생할 수 있는 일 중 환자,보호자,주치의 모두에게 가장 성가신것 중 하나는 바로 교정장치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환자 및 보호자는 어쩔 수 없이 시간을 내서 다시 병원에 내원해야되고, 주치의 입장에서도 교정장치를 붙이는 일은 굉장한 집중력이 필요한 일입니다. 이 때, 교정장치가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식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잘 떨어지지 않지만, 딱딱하거나 단단한 음식, 질긴 음식을 먹다보면 장치가 잘 떨어질 수 있습니.. 더보기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 후 통증 및 주의사항 교정용 임플란트는 작은 나사못과 같이 생겼다. 교정용 임플란트를 교정치료에 사용한지는 오래되지 않았다. 교정용 임플란트를 사용은 교정치료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기존에는 치아와 치아끼리 서로 밀고 당길 수밖에 없어서, 불필요하게 다른 치아들이 움직이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러한 부작용을 없애고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간단한 국소 마취 후 직접 잇몸에 식립하게 되며, 교정치료가 끝나면 마취 없이 가볍게 제거할 수 있다. 교정용 임플란트 제거 시, 흉터도 거의 남지 않으며 치유도 굉장히 빨리 된다. (흉터는 작게라도 생기는 경우도 꽤 있으나, 일반적으로 크게 티가 나지 않아 일반인은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교정용 임플란트를 제거했을 경우, 빈 공간에 음식물 같은것.. 더보기 교정치료 후 유지장치, 얼마나 오래 써야될까? 유지장치에 대한 모든것 "유지장치 얼마나 해야돼요?" 거의 모든 환자들의 단골 멘트다. 그도 그럴것이, 교정치료로 1년 반-3년 치료 받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이미 지쳐있다가 드디어 교정이 끝나는구나 싶었는데 유지장치를 껴야된다는 얘기를 들으면 숨이 턱 막힐것이다. 유지장치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고정성 유지장치라고 해서 앞니 뒤쪽에 철사를 붙여놓는 것이다. 또 하나는 가철식 유지장치라고 하는데 뺐다 꼈다 하는 장치이다. 1. 고정식 유지장치 고정성 유지장치는 앞니 배열을 그대로 유지해주고, 앞니가 벌어지지 않게 붙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성 유지장치는 아무래도 앞니에 붙여놓는 것이기 때문에, 유지장치가 떨어지지 않는 이상 효과는 아주 훌륭하다. 웬만해서는 앞니가 틀어지거나 벌어지지 않는다. 간혹, 앞니가 틀어.. 더보기 교정 중 이 시림 증상, 정상일까? 증상별 원인과 해결법 교정치료 중인 환자들이 가끔 호소하시는 증상 중 하나가 이 시림 증상이다. 가끔 교정치료 시작 후 1-3달 정도 됐을 때, 혹은 아예 6개월-1년 이상 되었을 때 환자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시고는 한다. "요즘 들어서 이가 시려요" "찬물이나 뜨거운물 마시면 이가 시려요" "밥 먹을때 이가 좀 시려요" "양치질할 때 이가 시려요" 괜찮은 걸까, 아니면 문제가 있는 걸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증상에 따라 조금 다르다. 일단 교정 치료가 시작되면, 치아들은 힘을 받고 움직이기 시작한다. 치아가 움직이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일종의 염증 반응과 같다고 보면 된다. 교정력이 치아에 힘을 가하면 치아와 잇몸뼈 사이에 있는 치주인대라고 하는 인대 부위가 압박받는다. 그럼 인대에 있던 혈관이 눌리면서 산소가 부족해지고, 치아.. 더보기 집 주변(동네) 교정전문의 찾는법, 속지 말자 가짜 전문의 오늘은 2020 대한치과교정학회가 있는 날이다. 물론 온라인으로 진행돼서 집에서 아주 편하게 들었다. 교정학회 개회식에서, 대한치과교정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교정전문의를 찾는 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는 말을 듣고 나도 포스팅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치과의사로서 부끄럽지만, 분명 우리 사회에는 질 나쁜 치과의사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런 치과의사들이 국민에게 치과의사라는 이미지를 매우 망쳐놨다. 과잉 진료하는 것도 문제지만, 굉장히 엉망으로 치료해놓는 것도 문제다. 교정에 대한 얕은 이해는 수많은 부작용을 만들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치근흡수다. 치근 흡수는 치아 뿌리가 짧아지는 현상이라고 보면 된다. 교정을 하면 약간의 치근 흡수는 일어날 수 밖에 없다. 그렇지만, 너무 과도한 치근 흡수는.. 더보기 클리피씨(clippy-c) 교정의 허와 실 교정치료는 특정한 장치를 이용해서 이뤄지게 된다. 교정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브라켓, 튜브, 투명교정 장치, 가철성 장치 등이 있다. 이 중 브라켓의 종류도 매우 다양한데 크게 메탈 장치와 세라믹 장치로 나눌 수 있다. 클리피씨 브라켓은 세라믹 브라켓의 한 종류인데 요즘 교정장치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다. 흔히 치과에서 '클리피씨 교정'이라고 하는건 클리피씨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치료를 뜻한다. 장점 클리피씨 브라켓은 장점이 정말 많은 장치이다. 1. 우선 가장 큰 장점은 세라믹 브라켓이기 때문에 메탈 브라켓에 비해 훨씬 심미적이다. 물론 메탈 브라켓이나 세라믹 브라켓이나 똑같은 철사가 들어가기 때문에 철사가 눈에 띄는건 어쩔 수 없다. (참고로 간혹 철사도 하얀색 철사를 사용하는 곳이.. 더보기 교정 철사 찔림 해결 핵꿀팁! 왁스 아님! 투명교정을 제외하면 교정치료 시 교정용 철사가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철도 깐다는 얘기도 나오고, 철도청이라는 카페까지 생기게 된 것이다. 교정치료를 받다보면 발생할 수 있는 굉장히 성가신 일 중 하나가 바로 교정 철사 찔림이다. 이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원인 1. 공간을 닫으면서 가장 후방 치아 뒤쪽으로 교정 철사가 튀어나오는 경우 발치를 했거나, 기존에 치아 사이에 공간이 있었거나 등 여러 이유로 치아 사이에 남아있는 공간을 닫는 경우 공간이 닫히는만큼 철사가 뒤로 빠질 수 밖에 없다. 2. 교정 철사가 얇아서 돌아간 경우 교정치료 초반 혹은 후반에 치아 배열을 위해 얇은 교정 철사를 넣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치아가 배열되면서 브라켓이라고하는 장치와 철사 사이에 .. 더보기 투명교정 별로라던데.. 어떤 점이 안좋나요? 투명교정에 명확한 한계가 존재하는데, 이는 바로 뺏다꼈다 할 수 있는 장치라는 것이다. 투명교정 실패의 대부분은 여기서 비롯된다. 22시간 이상 장착하고 있는 것이 권장되며, 이는 결국 식사와 잇솔질 하는 시간 외에는 항상 착용을 해야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상당히 많은 환자들이 식사 후 다시 착용하는것을 깜빡한다. 간식을 자주 먹는 사람은 간식 먹을 때마다 뺐다 꼈다하다가 까먹는 경우도 있다. 또 양치질하려고 잠깐 빼놨다가 깜빡하고 잠들어서 못 끼는 경우도 많다. 사실 하루 내내 또는 몇일 동안 장치를 깜빡하고 안끼는 환자는 그렇게 많지 않다. 그렇지만 이렇게 하루에 수 시간씩 장치를 못끼는 날이 비일비재하다보면 장치의 효과가 떨어져 결국 치료기간이 늘어나고, 교정치료의 완성도도 떨어진다. 그 외에도 기.. 더보기 투명교정. 일반 교정에 비해 어떤점이 더 좋나요? 투명교정의 장점은 확실하다. 장치가 투명하다보니 일반 장치에 비해 훨씬 심미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가까이서 보면 장치에 빛이 반사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티가 나지만, 장치에 물을 살짝 담아서 끼게 되면 일반인의 눈에는 티가 거의 나지 않는다. 따라서 면접을 앞둔 학생이나 취업준비생, 그리고 다소 뒤늦게 교정을 시작하게 된 3-40대 분들이 선호한다. 또한 일반적인 교정장치(bracket)에 비해 훨씬 이물감도 적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구내염 등이 감소한다. 더보기 투명 교정은 뭐가 다른가요? 투명교정장치(clear aligner)의 원리 투명교정을 시작하게 되면 처음에 본을 뜨게 된다. 즉, 현재 구강상태를 석고모형이나 디지털 모형으로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모형으로 교정치료가 완료됐을 때의 모습을 구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모형에서 치아 하나하나를 개별적으로 움직여서 예쁘게 교정이 완료됐을 때의 모형을 만든다. 이렇게 개별 치아의 최종적인 위치가 결정되면 현재 위치에서 그 위치까지의 여정을 여러 단계로 쪼개서 장치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가령, 앞니 하나가 2mm 정도 앞으로 이동해야된다면, 이를 5단계로 나눠서 0.4mm 씩 이동된 장치가 5개 나올 수 있다. 이렇게 앞니가 0.4mm 정도 앞으로 이동된 형태의 장치를 입에 끼게 되면 처음에는 당연히 장치가 정확히 맞지 않고 뜨게 된다. 그러나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 더보기 이전 1 2 다음